네덜란드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화가 중 한 명인 렘브란트 하르먼손 반 레인(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 네덜란드, 1606~1669). 그는 유럽 미술사에서 위대한 화가 중 한 사람이며 네덜란드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화가입니다. 빛의 마술사, 빛의 화가로 불리는 렘브란트의 생애와 작품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생애
렘브란트는 암스테르담 근교의 공업도시이자 대학도시였던 레이던에서 방앗간을 운영하는 제분업자의 아홉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어려서는 라틴학교에 다니고 14세에 레이던 대학에 진학해 인문학을 공부했으나, 공부에 흥미를 느끼지 못하고 미술에 소질과 관심을 보여 대학공부를 포기하고 야콥 반 스바넨뷔르흐(Jacob van Swanenburgh) 밑에서 3년간 미술 수업을 받았습니다. 1625년 개인 화실을 열었고, 당시 암스테르담의 가장 유명한 화가였던 페테르 라스트만(Pieter Lastman)에게 6개월 정도의 짧은 도제생활을 거치며 새로운 기법들을 익히게 됩니다. 1632년 경부터 암스테르담에 자리 잡고 본격적인 화가활동을 하였고, 그가 처음으로 그린 그룹 초상화 <니콜라스 튈프 박사의 해부학 강의>가 유명세를 타면서 초상화가로서의 입지를 굳힙니다. 이후 10년 간은 명성과 부를 누리는 그의 전성기였으나 1642년 제작한 그의 최고 걸작인 <야간순찰>이 혹평을 받으며 명성이 떨어지기 시작했고, 1656년에는 파산 선고로 경제적으로 어렵고 궁핍한 생활을 하다가 1669년 암스테르담에서 쓸쓸히 사망했습니다.
배경
17세기 가톨릭을 수호하던 스페인과의 전쟁에서 승리한 네덜란드는 개신교 국가로 독립할 수 있었고 무역대국으로 성장하는 황금시대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네덜란드의 역사 속에 렘브란트가 함께 했습니다. 그는 초기에는 역사화와 종교화를 주로 그렸으나 종교개혁 이후에는 이런 주제를 주문할 교회나 궁정이 사라지고, 대신 해양무역을 통해 성장한 신흥계급들이 주요 고객으로 등장합니다. 이 새로운 계층은 과거 왕족이나 귀족들의 전유물이던 대형 초상화를 소유할 정도로 성장했습니다. 이들은 자신들의 상승된 신분을 과시하기 위해 초상화를 주문했고, 특히 직업조합이나 자치단체들의 초상화 주문이 많아 집단초상화가 네덜란드 그림의 독특한 전통이 되었습니다.
작품
렘브란트가 그린 최초의 집단초상화이며 그를 초상화가로 명성을 얻게 해 준 작품인 <니콜라스 튈프 박사의 해부학 강의>는 암스테르담 외과의사조합의 주문으로 그려졌습니다. 막 시신을 절개한 튈프 박사가 설명을 하려고 있고 7명의 조합원들이 저마다 다른 표정과 자세로 귀 기울이고 있습니다. 어디서 오는지 알 수 없는 빛이 시신을 가장 밝게 비추고 있어 수술대 위가 가장 집중되고 있고, 등장인물들의 얼굴에도 렘브란트 특유의 강한 빛이 조명되고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옷이나 화면의 배경은 어두운 색으로 처리해서 해부학 실습 자체로 몰입하는 분위기를 강하게 만들었습니다. 정면을 보던 딱딱한 초상화가 아닌 인물들을 극적으로 배치하고 생생한 표정을 담아냄으로써 램브란트는 그룹 초상화에 역동적인 구성과 이야기를 도입하는 혁신을 이루었습니다.
렘브란트의 최고 걸작으로 평가받는 <야간 순찰>은 당시 보기 드문 초대형 크기이며, 빛과 그림자의 사용이 탁월하고, 등장인물들의 모습을 포착한 자각력이 뛰어나서 명작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중요 인물인 반닝코크 대장, 부관인 반 류텐버그 중위, 그리고 좌측 뒤의 소녀는 밝게 처리해 눈에 띄게 부각시키고, 18명의 민병대원들은 이제 막 출동하려는 동작까지 생생하게 살려냈습니다. 그림 전체의 색조는 어둡게 하고 주제가 되는 부분에 시선이 집중되게 빛을 집중시키는 테네브리즘(tenebrism) 기법과, 밝은 곳은 밝게 어두운 곳은 어둡게 처리해서 입체감을 극대화하는 키아로스쿠로(chiaroscuro) 명암법을 사용했습니다. 카라바조가 시작한 이런 회화 양식들이 17세기에 유행하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이 작품은 작품명과 달리 밤 장면을 그린 것이 아니고 원래의 작품명도 <프란스 반닝코크 대위의 중대>였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유약이 변해 그림이 어두워지면서 작품의 제목마저 <야간 순찰>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맺음말
네덜란드 미술의 황금시대의 주도적 인물이었던 렘브란트는 '그려진 자서전'이라고 할 정도로 100여 점에 이르는 많은 자화상을 남기며 자신의 내면을 파헤치는 깊은 성찰을 했으며, 근대적 명암의 시조로 '렘브란트의 빛'으로 조명된 하나의 세계를 만들어 내고 스페인의 벨라스케스, 벨기에의 루벤스와 함께 17세기 최대의 화가로 기억되고 있습니다.